1강
연속 기억 장치 할당의 개념
- 기억 장치의 경영 방법 중의 하나(연속적재/불연속적재)
정적(MFT, 고정됨)/동적(MVT, 고정되지 않고 가변적이다.)
MFT를 쓰다가 문제가 되서 MVT가 나옴
MFT - 고정된 크기의 분할 영역에 프로세스(작업)가 각각 할당됨, 지금은 사용 안함
단편화가 일어남 내부단편화(프로세스가 드갔는데 남음), 외부단편화 (프로세스가 못드감)
단편화 계산하는법 알기
2강
가변 분할 다중 프로그래밍
고정된 경계를 없애고 각 작업이 필요한 만큼만 메모리를 할당
논리주소를 물리주소로 변경 해주는걸 매핑(사상, 주소바인딩)이 필요, 기준(재배치) 레지스터와 한계 레지스터가 필요 컴퓨터는 분할 테이블을 필히 가지고 있어야함 기준과 한계가 있어야 다른 프로세스가 침범도 안함 내부 단편화는 안생기는데 외부 단편화만 생긴다.
그러므로 사용 가능한 공간에 대하여 어느 작업에게 할당하기에 가장 좋은지 결정 필요(기억 장소 배치 전략)
기억 장소 배치 전략 = 메모리 재배치 기법
최초 적합 전략
최적 적합 전략 (검색하고 드가야하는데 정렬(오름차순)하고 검색을 해야함 이 과정이 비효율)
최악 적합 전략 (비효율, 내림차순 정렬)
댓글 없음:
댓글 쓰기